꿈마을 절전소 방은 나와 지구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기후 행동을 실천 하고 있습니다.
달마다 기후 행동, 불을 끄고 별을 켜다, 꿈줍깅 등 탄소발자국을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생활속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작은 행동들을 하나 하나 함께 하고 있습니다
25년 2월 달마다 기후행동은 장바구니 사용하기 였습니다.
장바구니 사용과 함께 비닐봉지를 재사용하고 인증사진을 올리는 활동이었습니다.
비닐봉지 재사용이란 장을 볼 때 대파, 과일 등 별도로 담아서 구매하는 경우
새로운 비닐봉지를 쓰는 것이 아니라 집에 있는 기존의 사용했던 비닐봉지를 가져가서 담아오기 입니다.
비닐봉지 하나라도 덜 써보자는 꿈에바 식구들의 생각이었습니다.
알록달록 다양하고 예쁜 장바구니 사진들.....................







함께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5년 3월 달마다 기후행동은 나 와 지구를 살리는 하루 한끼 채식입니다.
채식주의자 유형중 락토 오보 베지테리언을 실천합니다.
락토 오보 베지테리언은 육식은 하지 않지만 동물의 알, 유제품은 먹는 채식주의자입니다.
서양권 채식주의자들의 대부분이 락토 오보 베지테리언이라고 합니다.
채식위주의 식습관은 탄소발자국을 줄이기위해 할 수 있는 좋은 습관입니다.
탄소발자국이란? 개인 또는 단체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발생시키는 온실가스 총량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 음식등 모든 것이 탄소발자국을 발생시킵니다.
소고기 1kg을 생산하는데 약 27k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합니다.
축산업은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에 4분에 1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메탄,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등의 온실가스를 통해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목장 확장, 사료 작물 재배를 위한 산림 파괴로 육류 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3월은 고기 보다는 신선한 채소와 과일, 콩이나 두부 와 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맛있게 먹는 것은 어떨까요?
지구를 위한 우리의 작은 생활 실천들이 큰 변화를 가져오길 기대해봅니다.
지금 사회가 누리고 있는 편리함과 풍요로움 속에서 우리는 얼마나 지속 가능한 삶을 살아가고 있을까요?
편리함을 포기하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아름다운 지구에 살아가고 있는 우리와 또 계속 살아갈 다음세대를 위해
지속 가능한 생활방식을 선택 실천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지금의 작은 노력들이 모여 미래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잊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꿈마을 절전소 방은 나와 지구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기후 행동을 실천 하고 있습니다.
달마다 기후 행동, 불을 끄고 별을 켜다, 꿈줍깅 등 탄소발자국을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생활속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작은 행동들을 하나 하나 함께 하고 있습니다
25년 2월 달마다 기후행동은 장바구니 사용하기 였습니다.
장바구니 사용과 함께 비닐봉지를 재사용하고 인증사진을 올리는 활동이었습니다.
비닐봉지 재사용이란 장을 볼 때 대파, 과일 등 별도로 담아서 구매하는 경우
새로운 비닐봉지를 쓰는 것이 아니라 집에 있는 기존의 사용했던 비닐봉지를 가져가서 담아오기 입니다.
비닐봉지 하나라도 덜 써보자는 꿈에바 식구들의 생각이었습니다.
알록달록 다양하고 예쁜 장바구니 사진들.....................
함께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5년 3월 달마다 기후행동은 나 와 지구를 살리는 하루 한끼 채식입니다.
채식주의자 유형중 락토 오보 베지테리언을 실천합니다.
락토 오보 베지테리언은 육식은 하지 않지만 동물의 알, 유제품은 먹는 채식주의자입니다.
서양권 채식주의자들의 대부분이 락토 오보 베지테리언이라고 합니다.
채식위주의 식습관은 탄소발자국을 줄이기위해 할 수 있는 좋은 습관입니다.
탄소발자국이란? 개인 또는 단체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발생시키는 온실가스 총량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 음식등 모든 것이 탄소발자국을 발생시킵니다.
소고기 1kg을 생산하는데 약 27k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합니다.
축산업은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에 4분에 1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메탄,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등의 온실가스를 통해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목장 확장, 사료 작물 재배를 위한 산림 파괴로 육류 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3월은 고기 보다는 신선한 채소와 과일, 콩이나 두부 와 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맛있게 먹는 것은 어떨까요?
지구를 위한 우리의 작은 생활 실천들이 큰 변화를 가져오길 기대해봅니다.
지금 사회가 누리고 있는 편리함과 풍요로움 속에서 우리는 얼마나 지속 가능한 삶을 살아가고 있을까요?
편리함을 포기하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아름다운 지구에 살아가고 있는 우리와 또 계속 살아갈 다음세대를 위해
지속 가능한 생활방식을 선택 실천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지금의 작은 노력들이 모여 미래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잊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